고객지원

기술자료

소지의 종류

이      름 기술개발부 작 성 일 2005-10-26
소지의 종류
철강
철은 탄소의 함유량에 따라서 강과 주철(주물)로 구분합니다. 그 강 안에 크롬이나 니켈 등을 함유한 것을 합금강이라고 하며 스테인레스강과 같이 특수한 용도에 사용합니다.
강을 압연하여 판이나 환봉, 관 등을 만드나 열을 가하여 압연하면 흑피 마무리가 되고 냉간 압연에서는 연마 마무리가 됩니다. 흑피는 산화철로 밀 스케일(Mill Scale)이라고 부르는데 이 이상으로 녹이 발생하는 일은 없으나 단단하고도 여리며 또한 벗겨지는 일이 많습니다.
구리 및 동합금
구리는 적색의 금속으로 전연성이 있어 열이나 전기의 전도도가 크고 습기가 있어 공기 중에서는 표면에 녹청(염기성 탄산동)이 생깁니다.
황동은 구리와 아연의 합금으로 양은이라고도 하며 다른 금속과 배합한 특수 황동도 있습니다. 청동은 구리와 주석을 주성분으로 하며 포금이라고도 하고 니켈 청동은 특히 양은이라고 부릅니다. 이 구리와 동합금은 도료의 밀착이 불량하므로 앞처리를 충분하게 할 필요가 있습니다.
알루미늄
은백색의 경금속으로 열이나 전기의 전도도는 구리 다음으로 좋으며 전연성이 풍부하고 판이나 관 또는 박 등으로도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습니다. 이온화 경향이 크므로 그 표면이 산화되기가 쉬우나 완성된 산화물은 얇고 견고한 피막이 되어 표면을 보호하므로 내식성이 좋습니다.
염산에 쉽게 용해하고 알카리 용액에도 용해합니다. 그러나 식염수와 해수에도 침식되기 쉬운 단점이 있습니다. 도료의 밀착은 구리와 동일하게 나쁘므로 여러가지의 앞처리를 합니다.
아연
청백색의 광택이 있는 금속으로 건조한 공기 중에서는 대체적으로 산화를 하지 않으나 습기와 탄산가스가 있으면 그 표면에 염기성 탄산 아연의 얇은 막이 형성되어 광택이 없어집니다. 이 막은 충분하게 내부를 보호하기 위한 내식성은 있으나 산이나 알카리에는 쉽게 용해됩니다. 내식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크롬산 처리를 하여 징크 크로메이트(Zinc Chromate)의 피막을 만드는 것이 많이 실시되고 있으며 이것을 크로메이트 처리라고 합니다. 토탄(Totanaga)판은 철판에 아연을 도금한 것입니다.
목재
침엽수나 광엽수의 내부 나무만을 쓴 것을 목재라고 부르는데 나이테가 있고 심재(心材 : 적색 몸통)와 변재로 구분합니다. 이 목재는 건축과 가구에 주로 많이 사용하며 두께 8㎝ 이내의 판 종류, 일반 톱으로 마름질한 종류 및 그 이상 마름질한 나무의 종류로 구분합니다.
나무는 장점도 있으나 또한 단점도 많은데 이러한 단점을 감소시킨 개량 목재를 공업적으로 사용합니다. 개량 목재에는 단판을 접착제로 접합한 적층재(積層材 : 스키용품 등)와 이것에 합성수지를 침지한 경화적층재(전기부품 등), 접착제로 길고 큰 재목으로 한 집성재(集成材 : 건축 재료용), 합성수지를 주입한 합성수지 주입목재와 기타가 있습니다.
합판(Plywood)
일반적으로 베니어판이라고 하나 베니어라는 것은 1장의 얇은 판을 말하고 합판은 이 베니어(단판)를 중첩한 것입니다. 단판은 둥근 목재를 권지와 같이 얇게 연속적으로 된 판으로 절단한 것으로 이 단판의 나뭇결이 서로 직각으로 되게 접착제로 접착한 것입니다. 접착제가 페놀수지인가 기타의 수지인가에 따라 내수성이나 내구성이 다르며 옥외용, 옥내용 등으로 구분합니다. 또한 접합 방법이나 구조에 따라서 경량 합판, 성형 합판 등으로 구분한다.
이와 같이 합판은 a) 넓은 면적의 판을 만들 수 있고 b) 목재의 낭비를 절감하고 c) 합성 수지로써 여러가지 처리를 할 수 있으며 d) 뒤틀림이 적은 등의 장점으로 인하여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하고 있습니다.
모르타르(Mortar) 콘크리트
콘크리트는 시멘트에 모래나 자갈 등의 골재와 물을 혼합하여 견고하게 굳힌 것으로 시멘트가 물과 화학 반응을 하여 경화됩니다. 이 시멘트에 모래만을 혼합한 것을 모르타르라고 하며 콘크리트를 마무리용으로 사용합니다. 콘크리트는 단단하고 그리고 수중에서도 오래 견디며 내화, 내진, 내수성이 있으므로 건축재료로서 많이 사용합니다.
모르타르의 두께는 보통 12∼16㎜ 정도로, 마무리에는 평활한 마무리와 거친 면 마무리가 있으며 평활한 마무리는 나무 인두나 쇠인두로 마무리를 하여 도장 바탕으로 합니다.
거친 면 마무리에는 칠 솔질이나 건(Gun) 분무 칠과 긁기 작업을 하는 마무리가 있으며 또한 벵갈라(Bengala), 산화황, 송연 등을 주입하여 착색하는 작업도 있습니다. 이외에도 아스팔트 모르타르, 석회 모르타르 등이 있습니다.
플라스터 석고 보드
플라스터(Plaster)란 소석고의 주성분으로서 물이나 모래를 가하거나 또는 석회 크림이나 소석회 등을 가한 것을 말하며 균열이 생기기 어렵고 견고하고도 또한 경화하는 것이 빠릅니다. 요리실에는 특히 경질로 세척할 수 있는 킨스 플라스터를 사용합니다.
석고보드에는 흡음판으로서 구멍이 뚫린 것과 평판이 있습니다. 이러한 것은 양면에 흡수성이 큰 종이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도장에 주의를 요하고 습기가 많은 곳에서는 흡습하여 부풀거나 비틀어집니다. 이것은 특히 구멍 뚫은 흡음판에서 잘 볼 수 있는 현상입니다.
슬레이트판, 규산 칼슘판
슬레이트판은 석면과 혼합한 것으로 단단하고 견고하여 천정이나 벽 그리고 지붕 판자에 평판으로 하거나 아니면 파형판으로 사용합니다.
규산 칼슘판은 슬레이트판에 규소사, 석회를 가한 것으로 슬레이트판과 비교하여 알카리성이 적으나 흡입은 매우 크며, 표면은 무르고 여리며 또한 분화성이 있습니다. 이것은 도료의 부착성이 불량하여 실러 칠을 필요로 합니다.
하드보드 및 칩보드
하드보드는 목재나 볏집 등을 펄프로 하여 그것에 압력을 가하여 판 모양으로 한 것으로, 평판이나 구멍이 뚫린 흡음판으로서 천정이나 벽에 사용합니다. 이것은 목재 등의 섬유가 주체이므로 목재보다도 흡수성이 크고 기후 변화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합니다.
칩보드는 목재의 절단 조각을 접착제로 결합하여 판자로 한 것으로 표면은 연마 마무리 되어있습니다. 하드보드와 같이 흡습에 의한 변화가 없으므로 벽 재료로서 많이 사용합니다. 단, 습기가 많은 장소에서는 목편이 부풀어오를 때가 있습니다.
플라스틱 재료
물질에 외력이나 열을 가하여 변형할 때에 가한 힘을 제거하여도 원래의 모양으로 되돌아가지 않는 성질을 가소성이라고 하며 가소성을 가진 물질을 플라스틱이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수지는 가소성이 큰 것으로 플라스틱이라고 부르나 현재에는 대체적으로 합성수지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합니다.
합성수지는 압축이나 압출, 사출 등의 방법으로 여러가지 모양으로 가공하며, 그 열적 성질로써 열가소성, 열경화성으로 크게 구별합니다.
플라스틱은 비중이 작고 견고하여 부식에 강하고 전기 절연성이 좋으며 약품이나 유지에 대해서도 강하므로 건축재료나 공업재료 및 일용품 등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플라스틱 내부에 기포(氣泡 : Foam)를 포함하여 다공질로 한 것을 발포 플라스틱 또는 경량 플라스틱이라고 하며 쿠션이나 단열재료 등에 사용합니다.
열가소성 플라스틱은 많은 촉매로써 긴 쇄상의 중합체로 한 것으로 근년의 석유화학 공업의 발전에 수반하여 눈부신 발전을 하였으며, 폴리에틸렌, 염화비닐, 아크릴, 폴리카버네이트,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가 그러한 것의 대표적인 것입니다. 이외에도 폴리스티렌이나 ABS 등의 수지를 이용합니다.
열경화성 플라스틱은 페놀, 요소, 멜라민 수지 등 포름알데히드와 축합하여 얻는 것의 대표적인 것이며 3차원적인 복잡한 구조입니다. 에폭시, 실리콘, 폴리에스텔은 전기 절연성이 좋으며 또한 적층재료 등으로 그 용도가 광범위합니다.

NO 제목 작성자 등록일
8 철재의 전처리 방법 기술개발부 2005.10.26
7 금속의 전처리 방법 기술개발부 2005.10.26
» 소지의 종류 기술개발부 2005.10.26
5 도장공정 기술개발부 2005.10.26
4 도장사양서란 기술개발부 2005.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