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지원

기술자료

도장에 앞서 검토되어야 할 일

이      름 기술개발부 작 성 일 2005-05-30

  피도물, 도장방법, 도료는 가각 독립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도료는 반제품이므로 도료가 아무리 고기능이라도 도장이 나쁘면 그 성능은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다.

  피도물의 새로운 요구에 맞도록 도료가 개량되고 새로운 도장방식의 발전을 촉진 하며 도장에 대하는 요구조건을 만족하기 위하여 새로운 도장방식이 요구되며 이러한 것이 도료의 발전을 촉진시킨다. 이런 변화속에서 도장설계나 사고방식이 향상 되고 있다.

가전제품, 각종 공작기계등에서 수십만톤 되는 거대한 선박, 탱크, 교량 혹은 화학약품을 사용하는 플랜트 등의 피도물에는 종류도 많고 요구조건도 다양하다.

이것에 표준적인 도장설계가 똑같이 적용될 수 없는 것은 명확하며 각각의 요구에 따르는 적당한 도장설계가 필요하다.

여러가지의 도장설계를 분석하고 기본적인 진행방법을 정리하여 보면,

① 피도물에 관한 조건의 확인

② 내구성 및 코스트가 제품의 품질 상관관계 검토

③ 사용도료, 도장방법의 선정

④ 전처리를 포함한 도장작업 순서(공정)의 결정

이러한 요소가 허용될 수 있는 조건의 범위내에서 도장설계가 되지 않으면 안된다.일반적으로 ①과 ②의 기초조건에 의하여 ③과 ④의 요소가 종속적으로 결정된다.

(1) 피도물의 조건

도장되는 물건이 "무엇인가" 라고 알아야 되는 것은 여기서부터 도장설계가 시작되기 때문이다.

피도물의 소재, 소지의 상태, 형상, 크기, 수량, 특수조건의 유무이다. 부분보수나 재도장시에는 소재와 같은 구도막의 도료와 공정에 관하여도 검토하지 않으면 안된다. 수량은 피도물의 예상 발주기간과 한번 발주 수량을 알 필요가 있다. 장기간 다량으로 생산하는 경우에는 상당한 설계투자를 할 경우도 있다.

특수조건이란 도장작업과 도료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면 철강제품으로서 화학적 전처리로서 약품이 소지에 남기 쉽고 녹슬기 쉬운 용접과 리베트부분 혹은 스프레이도장시 도료가 부착하기 어려운 깊은 곳 등을 조사해야 한다.

도장의 시공으로서 이러한 문제는 도장작업의 연구로서 해결되는 것도 있지만 품질요구가 엄격한 경우 등 양산의 경우에는 제품의 설계부분과 같이 해결하는 쪽이 제품품질의 향상, 전체적인 가격 인하에 효과가 크다.

이러한 제품설계부문과 같이 검토해야 할 사항을 보면, 첫째 서로 다른 이종재로는 혼합사용을 피해야 하고, 즉 금속과 플라스틱, 열가소성수지와 열경화성수지를 혼합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둘째로 동일 재료일지라도 도장할 부분의 표면상태가 같아야 한다. 세째로 물이나 오염물이 고이기 쉬운 형상, 철판끼리의 접합부분의 이음이 없어야 한다.

(2) 도장에 대한 요구

무엇을 도장을 할 것인가와 동시에 {무엇때문에}, {어떤조건으로}, 사용되는가 하는 것도 중요하다. 그러므로 요구되는 것은 도막성능 유지관리(Maintenance), 도막코스트 등도 있다.

도막의 내구성이나 도장코스트는 피도물의 조건과 같이 정확한 기초요소가 아닌 추정요소로 되는 경우도 있다. 이들의 요소를 충분히 이해하고 있지 않으며, 종속 요소라고도 말할 수 있는 도료, 도장공정의 결정으로서 잘못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요구되는 도막성능의 이해로서는 피도물의 환경과 사용되는 상태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환경이란 피도물의 입지조건, 건설도장에서는 외부냐 내부냐 등 어떤 특수성능 요구되는 조건에 알맞는 도장설계를 해야 한다.

(3) 도료의 선정

도료의 종류는 대단히 많지만 만능도료는 없다. 피도물의 조건, 목적, 시공 조건, 능력 등을 고려하여 선택하며 주위의 환경에 맞는 기구적인 색채를 결정한다. 도료를 선정하여 도장공정을 결정하는 경우 또는 도장공정을 선정하여 도료를 결정 하는 경우도 있다.

(4) 도장공정의 결정

다음은 전처리와 도장정도와 공정을 결정한다. 이 선정에는 기술적인 요인과 경제적인 요인이 포함되므로 여러가지 연구하여 "Cost"의 절감에 노력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전처리는 전공정 가운데서도 가장 중요한 공정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소지의 종류와 상태, 요구되는 내구성과 끝맺임의 정도, 사용도료에 준하여 결정한다. 이것은 기능과 능력을 고려한 것이다. 도장방법, 건조방법을 결정하여 피도물의 형상, 크기, 수량에 있어서 능률적인 도장공정을 결정해야 한다.

공정은 어떤 목적의 작업을 가장 효과적으로 진행하도록 되어 있지만 작업간에 검사공정을 넣는 것을 있어서는 안된다.

NO 제목 작성자 등록일
5 도장공정 기술개발부 2005.10.26
4 도장사양서란 기술개발부 2005.05.30
» 도장에 앞서 검토되어야 할 일 기술개발부 2005.05.30
2 도료 도장의 의미 기술개발부 2005.05.23
1 도료 도장의 기원 기술개발부 2005.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