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지원

기술자료

도료 도장의 기원

이      름 기술개발부 작 성 일 2005-05-23

옛날 동양에서는 약 1,400년전 중국으로부터 불교문화의 영향으로 불상이나 불구등의 장식용으로 우리나라 절을 통하여 옻칠기술이 전해왔다.

동양에서는 고대 이집트에서 올리브유를 이용하여 유성계도료가 발달되어 왔다. 제 1차대전(1914 - 1918)전후에도 이러한 식물유(식물유+천연수지+용제)를 주로한 유성도료가 발달될때, 우리나라는 옻칠이 주종이었다.

2차대전(1939-1945년)후 합성수지인 메라민수지, 비닐수지, 에폭시수지, 아크릭수지도료등의 개발로 금속도장이 급속도로 발달했다.

1920년 인조고분자인 화선(Nitro-Cellulose)의 발달로 도장기구인 스프레이건이 발달되었고 1945년이후 정전도장, 전착도장, 분체도장, 무인도장에까지 발달되었다.

해방후 철도차량용유성도료및 교량용 방청도료가 생산되었으나 6.25동란으로 그나마 미비한 시설이 완전파괴되고 원료 구입이 불가능하여 생산이 중단되었다. 이때 UN군에서 유출된 각종 도료를 재가공할 정도였다. 1953년 휴전협정이후 사회질서가 유지되면서 도료계도 미국및 구라파 각국에서 원료및 시설도입이 비교적 쉽게되어 건축도료, 차량도료 등의 관내도료가 활기를 띄었다. 이때 특히 주한미군의 군납품 경기에 따라 미연방규격(Federal Specifications)에 의해서 각종도료가 제조되어 도료의 질적면, 시설면, 품질면에 일대 혁신을 가져와서 오늘날 한국도료공업의 전환기를 만들었다.

NO 제목 작성자 등록일
3 도장에 앞서 검토되어야 할 일 기술개발부 2005.05.30
2 도료 도장의 의미 기술개발부 2005.05.23
» 도료 도장의 기원 기술개발부 2005.05.23